울산대학교 | 중국어·중국학과
본문바로가기
ender

SNS Share

열린광장
공지사항
학사

학사

'중국경제통상론'과목 안내
작성자 김** 작성일 2011-08-02 조회수 681

   사회과학부 경제학전공의 최병철교수님께서 강의하시는'중국경제통상론' 과목을 소개합니다.

 

특별히 중국어 중국학과와 국제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분반도 편성하였습니다.

 

이번에 신설된 과목이라 모르는 학생들이 많으실 것 같아 게시합니다.

수업계획서를 첨부하오니, 읽어보시고 관심있는 학생들의 많은 수강 바랍니다!!

 

======================================================================================

2011년 2학기 중국경제통상론 수업계획서

개설학기 : 2011년 2학기

개설과목 : 중국경제통상론(3학점) : 신설

담당교수 : 최병철(사회과학부 경제학전공)

개설시간 :

① 중국경제통상론(01 분반)

경제학 전공자를 위한 분반 목(3교시), 금(2,3교시)

② 중국경제통상론(02 분반)

중국어중국학과, 국제학부, 기타 전공자를 위한 분반 목(1,2교시), 금(1교시)

교과목 개요 :

중국 경제는 1978년 등소평(鄧小平)의 개혁 개방 이후 고성장을 거듭함으로써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높아져 GDP규모 세계2위의 경제대국으로 부상하였다. 중국경제의 급속한 부상은 우리 경제에 커다란 기회인 동시에 도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중국은 우리나라의 최대 교역 상대국으로서 대중국 교역을 통한 대규모 무역수지 흑자는 우리나라 경상수지 흑자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한·중 간 교역은 중국의 개방정책 본격화와(1992년) WTO 가입(2001.11월) 등을 계기로 급증하기 시작하여 최근 교역 비중이 20%까지 확대되었다. 이렇게 우리나라의 대중국 무역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는 중국 경기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대중국 통상압력에도 취약해지는 등 위험요인이 존재한다.

본 교과목은 세계 2위 경제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경제를 미시적으로, 거시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그리고 WTO가입 이후 중국의 통상정책을 학습함으로써 한 중 간 교역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하고 있다.

 

주별 진도 계획

제1주 : 중국경제의 개관

제2주 : 중국경제의 현황과 전망

제3주 : 12.5 규획의 내용

제4주 : 중국의 해외투자 I

제5주 : 중국의 해외투자 II

제6주 : 중국의 통화금융정책

제7주 : 중국의 금융산업(은행업, 증권업) I

제8주 : 중간고사

제9주 : 중국의 금융산업(보험업, 자산운용업, 신탁업) II

제10주 : 중국의 노동시장

제11주 : 세계의 소비시장으로의 중국시장

제12주 : 중국의 무역구조(수출입 구조)

제13주 : 중국의 산업구조 I

제14주 : 중국의 산업구조 II

제15주 : 자유 토론

제16주 : 기말고사

 

 

주별 구체적인 수업 자료

 

제1주 : 중국경제의 개관

자료 1 : 수은 해외경제 2010.11, 한국수출입은행, 국가리포트, 중국 p.109-119

자료 2 : 중국 지도

 

제2주 : 중국경제의 현황과 전망

자료 1 : 중국의 경제 현황 및 전망(PPT, 2010.9), 금융전략분석부, 예금보험공사

자료 2 : 중국경제 2011, 그리고 향후 5년(2010.12), 중국통상전략연구센터, KOTRA

자료 3 : 차이나 모델에 관한 논쟁(2011.2), 해외경제포커스, 한국은행 해외조사실

 

제3주 : 12.5 규획의 내용

자료 1 : 이봉걸(2011.3), 중국 전인대를 통해 본 중국경제 전망과 우리 기업의 대응

전략, Trade Focus Vol.10 No.12, 국제무역연구원, 한국무역협회

자료 2 : 12.5 규획으로 보는 중국의 변화(2010.12), China Journal

 

제4주 : 중국의 해외투자 I

자료 1 : 중국의 해외투자 패턴 변화와 향후 전망(2011.1), 해외경제포커스,

2011-1호, 한국은행 해외조사실

자료 2 : 중국의 해외투자 동향 및 중국 투자유치 확대를 위한 정책 과제(2010.7),

FDI Theme Report 10-007, 투자연구조사팀, Kotra.

 

제5주 : 중국의 해외투자 II

자료 1 : 중국의 해외투자 및 한국의 투자유치 정책 연구(2010.12), Kotra 자료

10-073, Kotra

자료 2 : 중국의 해외 M&A 사례와 시사점(2010.7), Global Business Report

10-016, Kotra

 

제6주 : 중국의 통화금융정책

자료 1 : 중국 통화금융정책의 특징과 시사점(2011.5), SERI 경제포커스 제337호,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2 : 중국 인플레이션의 원인 및 영향(2011.5), POSRI CEO Report, 포스코경영

연구소.

 

제7주 : 중국의 금융산업(은행업, 증권업) I

자료 1 : 중국 금융산업 지도(2011.2), Kotra 자료 11-007, Kotra

 

제8주 : 중간고사

 

제9주 : 중국의 금융산업(보험업, 자산운용업, 신탁업) II

자료 1 : 중국 금융산업 지도(2011.2), Kotra 자료 11-007, Kotra

 

제10주 : 중국의 노동시장

자료 1 : 이철용 (2011.6), 중국 인구구조 변화의 경제적 시사점, LGERI 리포트, LG

Business insight.

자료 2 : 중국 노동환경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략(2011.1), 삼성경제연구소.

자료 3 : 두뇌공장 중국, 한국을 추월하다(2011.6),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제11주 : 세계의 소비시장으로의 중국시장

자료 1 : 중국 고속철도 시대와 신소비 지도(2011.3), KOCHI 자료 11-003, Kotra.

자료 2 : 중국 소비, Code로 잡는다(2011.5), KOCHI 자료 11-004, Kotra

자료 3 : 중국의 소비발전 단계와 12.5 규획 기간의 소비 정책(2011.2), KIEP 북경

사무소 브리핑, KIEP.

자료 4 : 중국의 성장전략 변화 : 투자-수출에서 소비 주도로(2010.11),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제12주 : 중국의 무역구조(수출입 구조)

자료 1 : 최근 중국 수입구조의 특징과 시사점(2011.4), VIP REPORT, 11-15, 현대

경제연구소.

자료 2 : 중국의 가공단계별 수출입구조로 본 중국 내수시장변화와 시사점(2011.5),

Trade Focus, vol.10, no.23, 한국무역협회.

자료 3 : 중국 무역수지의구조적 특징과 향후 전망(2011.5), 국제경제정보, 한국은행.

 

제13주 : 중국의 산업구조 I

자료 1 : 조철(2010.12), 중국의 구조변화 전망과 우리 산업의 중장기 대응 전략,

연구보고서 2010-584, 산업연구원

 

제14주 : 중국의 산업구조 II

자료 1 : 조철(2010.12), 중국의 구조변화 전망과 우리 산업의 중장기 대응 전략,

연구보고서 2010-584, 산업연구원

자료 2 :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분석한 2010 중국 산업 경쟁력(2010.10),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자료 3 : 중국 신흥기업의 부상과 시사점(2010.12),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제15주 : 자유 토론 및 보충

 

제16주 : 기말고사